본문 바로가기

게임 관련/림월드 모드 관련

Alpha animals 모드 - 온대림 생물

아니무스 복스 (Animus Vox)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육식성 (날고기, 시체, 음식, 가공 식품, 사료)
일일 섭취량 0.32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5.0℃ ~ 40.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9년
운반 가능한 수량 49
최소 조련 레벨 4 이상

한줄 평가 : 길들이기 힘든 요크셔테리어 (각별을 섞은)

아한대림, 온대림, 열대우림에서 5% 확률로 생성되는 희귀한 동물.

 

임신기간 10일에 한번에 1~3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9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91.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30개이다.

 

여우와 비슷한 생물로 취급되어서 도축한 고기는 여우 고기로 취급되며, 가죽또한 여우 가죽을 준다.

야성은 50%로 멧돼지와 비슷한 수준이고 애교 간격은 1.2일 마다 한번씩으로 각별이 굉장히 자주 뜬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데, 포식자임에도 소형동물로 취급되어서 표범, 와르그, 늑대 등의 포식자들에게 사냥받을 수 있기 때문에 허가 구역을 정해서 건물 내에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수 능력은 초능력 교감.

가끔씩 아니무스 복스는 림을 대상으로 초능력을 사용하는데 노출되면 대상이 된 림의 기분을 좋게 해준다.

좋아지는 기분은 6 정도. 크게 기분이 좋아지지 않기 때문에 애매한 능력이다.

 

구조와 운반이 가능하고, 짧은 애교 간격과 초능력 교감 덕분에 무드 관리를 해주는 귀여운 생물이다.

단, 각별이 잘 뜨기 때문에 도축하거나 불의의 사고로 죽을 경우 무드를 깎을 수 있어 리스크와 리턴은 적당하게 있는 편.

 

잔돌게 (Pebblemit)
이동 속도 1.8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53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65.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2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38)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무작위 석재 1개 교환권

해빙과 빙상을 제외한 모든 바이옴에서 5 ~ 7% 확률로 등장하는 생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19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

도축 시에 무작위 석재가 1개 덩어리로 생성된다.

 

애교도 부리지 않고, 훈련도 안되면서 원하는 석재를 드랍할지 안할지 알 수 없는 함정 생물.

야성은 70%나 되기 때문에 길들이기도 까다롭고 고기량도 얼마 나오지 않아서 도축용으로 기르기도 어렵다.

가축 판정도 아니기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므로 일일이 구역을 지정해줘야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이 생물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뭐니뭐니 해도 방어력.

소형 생물이라 탄환 회피율도 높은데 날카로움 50%와 둔탁함 35%의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 잘 죽지 않는다.

높은 관통력을 가진 저격총이나 차지 랜스등의 무기가 아니라 관통력이 낮은 무기로는 데미지를 제대로 받지 않거나 탄환이 튕기기만 한다. 다행히도 체력이 낮기 때문에 제대로 맞으면 금방 죽는다.

 

공격, 혹은 경호까지만이라도 훈련할 수 있다면 전방 돌격용 탱커로 길들일 가치가 있었을 테지만,

사실상 사냥용으로 가끔씩 석재 덩어리를 얻는 정도의 가치만 있다.

식인 동물로 나올 경우 특유의 방어도 때문에 소형 포탑이나 연사력 무기들로는 사냥하기 껄끄러운 생물중 하나다.

 

자갈게 (Boldermit)
이동 속도 1.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0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65.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650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300)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무작위 석재를 수급하는 석재 가축

해빙과 빙상을 제외한 모든 바이옴에서 5 ~ 7%, 온대림과 온대습지에서 10% 확률로 등장하는 생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40.

도축 시에 6개의 석재가 무작위로 생성된다.

 

잔돌게와는 달리 주기적으로 무작위 석재를 획득할 수 있기에 돌이 바닥났을때 여행하지 않고 돌을 얻는 생물.

야성은 잔돌게와 마찬가지로 70%, 길들이기 어렵고 훈련도 불가능하다. 고기량도 적어 도축용으로는 무리가 있다.

가축 판정이 아니기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므로 일일이 구역을 지정해주는 것이 좋다.

 

잔돌게 보다 높은 날카로움 70%와 둔탁함 70% 저항을 가지고 있어 두드려 맞는 걸론 잘 죽지도 않는다.

작정하고 잡으려고 한다면 총으로 잡기보단 폭탄이나 화염병을 던져 잡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주기적으로 석재를 획득 가능하기에 어지간히 석재가 부족하다면 기를만한 가치가 있지만,

전투를 위해서 쓰기도 어렵고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석재는 일일이 운반을 지정해줘야한다.

얻을 수 있는 메리트에 비해서 반격할 가능성도 20%나 되고 근접 공격력이 32나 되기 때문에 잘못 맞으면 죽을수도 있어 위험하다. 여러모로 길들여서 써먹기엔 감수해야할 리스크가 너무 큰 생물.

 

정작 어지간히 석재가 부족하면 심층 채굴을 계속 돌려서 돌을 수급하는게 더 낫지만,

전력의 낭비, 림의 시간 낭비 등등의 이유로 채굴을 계속 돌릴 수 없다면 고려해볼만 하다.

 

초원 공작 (Meadow Ave)
이동 속도 7.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8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5℃ ~ 4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40년
운반 가능한 수량 90
최소 조련 레벨 8 이상

한줄 평가 : 말의 상위호환, 애완동물 취급의 가축.

온대림에서 40%, 아한대림에서 30%, 나머지 바이옴에선 7% 확률로 나오는 동물.

 

6일마다 알을 낳고, 이론상 연간 10개를 낳는다. 단, 유정일 때만 낳으므로 연간 낳는 알의 갯수는 적을 수 있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68.

도축 시에 새 가죽 48개가 나온다.

 

성장기간에 비해 얻는 고기량이 적어 도축용 생물로는 큰 이점이 없다.

야성이 85%로 높아서 굉장히 길들이기 어렵고, 12% 확률로 반격하며 확률적으로 무리가 함께 복수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길들일 수 있다면 굉장한 메리트를 지닌 생물이다.

 

우선, 상단 짐꾼으로 사용 가능한 생물이기에 상단의 짐을 덜어주며, 1마리당 42kg을 운반할 수 있다.

머팔로나 알파카, 낙타에 비하면 운반수량이 적어보이지만, 림이 탑승 가능한 동물이고 무엇보다 빠르다.

굉장히 빠른 이동속도 덕분에 상단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굉장한 이점이다.

 

거기다가 똑똑한 지능 덕분에 운반도 되고 구조도 되며 호위도 된다.

적정 온도도 -15℃에서 40℃ 사이임으로 온대림 사계절에도 멀쩡히 지내므로 온도를 걱정해줄 필요도 없다.

이 모드의 만능 생물이라고 불러도 되는 최고의 생물이다.

 

길들일 수 있다면 최고로 든든한 생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조련 영감을 초원 공작에 소모하기는 아까운 감이 있다.

조련 영감이 떴는데 원하는 최종 생물이 없다면 차선으로 고를만하다.

 

에어로플릿 (Aerofleet)
이동 속도 2.84/초 (지형 무시,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5.0℃ ~ 3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9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5)
최소 조련 레벨 5 이상

한줄 평가 : 안아줘요 폭탄

아한대림과 온대림, 온대습지에서 40% 확률, 열대습지에서 30%, 해빙과 빙상을 제외한 모든 지형에서 10~20% 확률로 등장한다.

 

무성이며 9일마다 분열하여 새로운 에어로플릿을 낳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9.

도축 시에 에어로플릿 털 16개가 나온다. 또한 3일마다 6개의 블루 젤을 생성한다.

 

에어로플릿 털은 150% 내구도와 날카로움 54%, 둔탁함 14%, 열기 150%의 내성을 지녔고,

단열 방열이 각각 18.0℃으로 천과 별 차이가 없으며, 미관은 170% 정도 되지만 악마가닥 농사가 시작된 시점부터는 이 모든 능력치가 악마가닥에게 밀린다.

에어로플릿의 고기는 조리하여도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서 사료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 생물의 특징은 사망시 폭발한다는 것.

폭탄쥐나 폭탄사슴과 비슷하게 사망시 에어로플릿을 중심으로 3x3 만큼의 폭발을 일으키고, 그다지 강력한 폭발은 아니지만 도축시에도 폭발함으로 폭탄사슴만큼의 리스크를 안고 가는 셈이다.

 

폭발력이 강하지도 않고, 범위가 넓은 것도 아니며 체력도 낮아 자살폭탄 테러같은 것으로 사용하기는 어렵고,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블루 젤은 발전기와 배터리에 사용되는 헥사젤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지만,

지열, 태양, 풍력만으로도 기지 발전은 충분히 돌아가는데 굳이 에어로플릿을 길들일 이유는 마땅히 없다.

 

도축해서 나오는 가죽과 고기는 있으나 마나한 수준으로 쓸모없고,

수명도 짧고 야성도 60%로 머팔로와 동일한 수준이여서 무작정 길들이기도 어렵다.

야생풀만 먹어도 살 수 있고 한마리만 있어도 개체수가 번성하기 때문에 해충으로 취급된다.

 

가끔씩 이벤트로 거대한 에어로플릿도 등장하는데, 거대한 에어로플릿은 더 많은 블루젤을 생성하지만 야성 80%에 번식하지 않고 기대 수명이 110년으로 약 12배 정도 더 긴 수명을 지녀서 블루 젤을 모아서 발전기를 사용할 것이라면 거대한 에어로플릿을 길들이는 것이 좋다.

 

세포분열 쥐 (Fission Mouse)
이동 속도 5.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53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0.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6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38)
최소 조련 레벨 5 이상

한줄 평가 : 분열하는 핵폐기물

해빙과 빙상을 제외한 모든 바이옴에서 1 ~ 3% 확률로 등장하는 생물. 온대림에서만 7%로 나온다.

 

성별은 무성, 즉 번식하지 않는다. 다른 모드로 강제로 번식시키더라도 불임이라 번식되지 않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70.

도축 시에 얇은 가죽 25개가 나온다.

 

야성은 70%나 되고 길들인다고 해도 애교도 부리지 않고 훈련도 안되며 번식도 안된다.

가축 판정도 아니기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심지어 설명조차도 해충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생물의 트레이드 마크는 바로 죽을때 시전되는 분열.

세포분열 쥐는 죽으면 2세대 쥐 3마리를 낳고, 2세대 쥐는 죽으면 3세대 쥐 3마리를 낳는다.

사냥하려면 새로 생긴 2세대, 3세대 쥐들을 죽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번거로움이지만, 이녀석들의 진짜 위협은 킬존의 무력화에 있다.

 

근접 킬존이나 사격킬존이나, 식인동물로 몰려오는 1세대 쥐들을 공격하면 해당 장소에서 3마리로 불어나며, 근접 킬존에선 자리 부족으로 인해 불어난 2세대, 3세대 쥐들이 킬존을 뚫고 나와서 킬존 바깥의 림들을 공격하고, 사격킬존에서도 맞춰도 3마리로 불어나서 달려드는 세포분열 쥐들은 상대하기 굉장히 껄끄럽고 위험하다.

 

해충이라는 본연에 충실한 만큼, 정신 건강을 위한다면 모드 설정에서 세포분열 쥐를 나오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땅곰 (Groundrunner)
이동 속도 2.97/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8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40.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25년
운반 가능한 수량 150
최소 조련 레벨 2 이상

한줄 평가 : 채굴림 왜 고름?

아한대림과 온대림에서 20%, 온대습지와 열대우림, 열대습지에서 7% 확률로 등장한다.

 

임신기간 16일에 한번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9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에는 평범한 가죽 80개가 나온다.

 

야성은 30%, 반격 확률은 0%인데 똑똑함이라서 운반, 구조, 호위가 된다.

번식력도 뛰어나고 자라는 속도도 빠른 편인데 도축시 가죽과 고기도 많이 나오는 편이라 가축으로써도 좋다.

전투력은 곰과 비슷하거나 그보단 안좋은 편인데, 후술할 특수능력 덕분에 곰은 따위로 취급해도 된다.

 

이 생물의 특징은 바로 채굴 능력.

운반 능력을 훈련시키고 나면 채굴 명령을 내린곳으로 가서 채굴을 한다.

순수한 채굴 능력은 12 채굴림과 비슷하거나 좀 더 좋은 수준이지만, 채굴 노동에 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채용할만하다.

 

초반 고기방패로 쓸만큼 체력도 높고, 잡식성이지만 야생풀을 먹을수 있어서 방목이 가능하다.

또한 초중반의 곤충군락에서도 준수한 체력과 근접 dps 덕분에 곤충군락을 방어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깔려고해도 장점이 너무 좋아서 단점이 가려지는 뛰어난 생물이니 보인다면 암수 한마리씩 길들이는 것이 좋다.

 

기간텔로프 (Gigantelope)
이동 속도 4.5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53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5.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18년
운반 가능한 수량 개체마다 다름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털 안자라는 패치 전 비팔로, 많은 양을 운반 가능한 짐승

아한대림과 온대림, 온대습지에서 40% 확률, 열대습지에서 30%, 해빙과 빙상을 제외한 모든 지형에서 10 ~ 20% 확률로 등장한다.

 

임신기간 10일에 한번에 1마리씩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두터운 모피 80개가 나온다.

 

야성이 60%나 되지만 머팔로와 같은 수준이라 머팔로 대신 기르는 정도.

4일마다 15개 만큼의 우유를 생산한다.

가축이라서 울타리 안에 넣어두지 않으면 2일 후에 지도 밖으로 도망친다.

 

이 생물의 특수 능력은 운반 능력 가챠.

지도상에 생성될 때 상단 운반 능력이 무작위로 선정된다.

빈약부터 전설까지의 등급이 붙으며, 등급에 따라 운반 수량이 변동된다.

 

운반 수량의 결정은 각각 (기본 능력치 + 추가 휴대량) x 건강 수치 x 동물 크기 - 동물 몸무게로 결정되며,

건강한 기간텔로프는 빈약 기준 (75kg + 5kg) x 대형 200%(2배) - 93.60kg = 76kg 으로 계산된다.

빈약 기간텔로프는 약 76kg의 무게를 적재할 수 있고,

전설 기간텔로프는 약 144kg의 무게를 적재할 수 있다.

 

사실상 털 수급 능력을 제거하고 운반 능력을 강화한 옛 머팔로로, 가축 판정이라 전투용으로 쓰기에는 부적합하다.

이 운반 수치는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선정되기에 전설 기간텔로프끼리 교배해도 빈약함이 나올 수 있다.

이 모드에는 더 좋고 훌륭한 상단 동물도 많거니와, 우유 대체용품으로 사용할 생물도 많아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다.

툰드라에 사는 머팔로와 달리 온대림과 열대우림 등 따뜻한 곳에서 주로 살아서 머팔로와는 차별점이라면 차별점.

 

외형도 그렇고 특유의 귀여움과 마스코트 같은 외모의 머팔로와는 달리,

어딘가 기분 나쁘게 생겼고 특색없는 능력치 덕분에 잘 쓰진 않고 사냥으로 간간히 잡는 편.

모드를 이것저것 넣거나 개발자 도구로 소환할 경우에는 이 운반 능력이 제대로 붙지 않기도 한다.

 

리퍼 하운드 (Ripper Hound)
이동 속도 5.00/초 (인간 4.60/초)
식성 육식성 (생고기, 시체,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0.0℃ ~ 45.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12년
운반 가능한 수량 112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대 곤충병기

건조관목림과 온대림에서 5% 확률로 등장하고 빙상과 해빙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0.5 ~ 1% 확률로 등장한다.

 

임신기간 12일에 한번에 1 ~ 4마리씩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10.

도축 시 두터운 모피 60개가 나온다.

 

야성 70%, 반격 확률 5%로 와르그와 동일하거나 그보단 약할수도 있다.

와르그와는 달리 사료도 먹을 수 있으며, 똑똑한 지능 덕분에 운반과 구조도 가능하다.

애완동물 취급이고 1.2일 마다 한번씩 애교를 부려 무드 버프를 준다.

 

이 생물의 특징은 대 곤충 추가데미지.

평균 16.5의 평타 데미지와 25%의 관통력 덕분에 자체 성능만으로도 왠만한 곤충은 씹어먹지만,

특수 능력의 존재로 인해 곤충 군락 유형의 곤충을 상대로는 20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1열로 세워진 통로에 곤충군락이 출몰해서 싸운다면 3 ~ 5마리의 리퍼 하운드만으로도 곤충군락 8둥지 이상은 쓸어버릴 수 있으므로, 내산지 플레이를 한다면 다량의 리퍼 하운드들을 사육하는 것도 좋다.

 

레이하운드 (Ray-Hound)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사료)
일일 섭취량 0.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0℃ ~ 60.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20년
운반 가능한 수량 112
최소 조련 레벨 2 이상

한줄 평가 : 근접 메카노이드의 하드 카운터

온대림, 온대습지, 열대우림, 열대습지에서 각각 7% 확률로 1~2마리씩 생성되는 동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10.

도축시 얻는 가죽 량은 60개이다.

 

생긴건 개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파충류로 분류되어 도축 시 파충류 고기와 파충류 가죽을 준다.

도축 효율은 높지 않으나, 애완동물 판정이면서 야생 풀을 먹을 수 있어 방목이 가능하다.

보기보다 크기도 큰 편이라 인간의 1.5배인 중형 생물 판정을 받는다.

 

잡식성인 관계로 자신이 낳은 유정란을 먹을 수도 있지만, 알 상자를 만들어 주면 먹이가 있으면 알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

야성이 20%라 길들이기도 쉽고, 똑똑한 지능 덕분에 구조와 운반이 가능하다.호위용으로 쓰기엔 낮은 체력과 조금 느린 이동속도가 발목을 잡는데, 이는 후술할 특수 능력이 진가를 발휘한다.

 

특수 능력은 EMP 촉수 타격. 메카노이드를 촉수로 타격하면 20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또한 근접 공격시 촉수로 EMP를 터트려 무력화 시킬 수 있다.

메카노이드는 EMP에 한번만 걸리고 이후로는 걸리지 않지만,

근접 호위를 시킬 경우 빠르게 다가오는 근접형 메카노이드를 잠깐 동안 붙잡아둘 수 있다.

 

본래 알파 애니멀에선 알파 메카노이드가 추가되어 입지가 있었지만, 업데이트를 하며 소리소문없이 제거되었다.

하지만 바이오테크에서 새로운 메카노이드가 다수 추가됨에 따라 사용할 방법이 어느정도 생겨났다.

 

사이더나 터널러 등의 근접형 메카노이드나 밀리터와 같이 사거리가 짧은 메카노이드를 상대로 림을 보호해 줄 수 있으나,

랜서, 파이크맨, 센티피드와 같은 원거리 사격형 메카노이드에겐 근접하기도 전에 화력에 녹아버릴 수 있다.

특히 화염 공격을 하는 스코처, 지옥화염포 센티피드, 디아볼로스를 상대로는 정착민에게 맞게 하지 않는다 정도로만 다행일 뿐, 다가가기는 커녕 불타 죽지 않으면 다행인 상황이 발생하니 등장하는 메카노이드를 보며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요약하자면 대 메카노이드 전투력은 해당 상태로 요약된다

 

밀리터, 사이더, 터널러, 워 어친 < 레이하운드

적은 수의 랜서, 파이크맨, 센티피드 거너, 블래스터 = 레이하운드

많은 수의 랜서, 파이크맨, 센티피드 거너, 블래스터 / 워 퀸 > 레이하운드

스코처, 센티피드 버너, 디아볼루스 >>> 레이하운드

 

낮은 공격력과 느린 이동속도, 낮은 체력등으로 인해서 대 메카노이드전 이외에는 사용되지 못한다.

전투형 애완동물로 취급됨에도 2일 간격으로 애교를 부려 각별이 뜰 수 있어 각별이 뜨는 경우 써먹기 굉장히 힘들어진다.

여러모로 제대로 써먹기는 계륵에 가깝지만 갑작스러운 메카노이드 중앙 드랍의 경우에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어 키워놓아서 나쁘지는 않다. 야성이 낮고 방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이는 족족 길들여도 밥값 이상을 하는 편이다.

 

전기 염소 (Shock Goat)
이동 속도 3.5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3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5.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12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49)
최소 조련 레벨 2 이상

한줄 평가 : 애매한 가축

온대림에서 5% 확률로 등장하고 아한대림, 빙상, 사막, 해빙, 고열 사막, 건조관목림을 제외한 지역에서 2% 확률로 등장한다.

 

임신기간 5.61일에 한번에 1 ~ 4마리씩 낳는다.

성장기간은 15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91.

도축 시 평범한 모피 30개가 나온다.

 

야성 30%, 반격 확률 5%로 길들이기는 의외로 어렵지 않지만 반격확률이 있어 리스크가 있다.

2일마다 12만큼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고 야생풀을 먹을 수 있어 방목할 수 있다.

가축이 아닌 취급으로 판정받아 울타리가 없어도 야생화 되지 않지만 멋대로 돌아다닌다.

 

이 생물의 특수 능력은 마비 공격.

평균 6.5의 평타를 1.66초 마다 공격하여 Dps의 경우엔 2.42로 낮은 편이지만, 이 생물에게 공격받으면 심장마비를 일으킨다.

전기 공격으로 심장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기 때문에 심장마비로 순식간에 무력화 되거나 스턴에 걸린다.

 

전투용으로 쓸만한가 하면 추천할 만큼 좋진 않다.이동속도가 3.50/초 이기에 인간보다 느리고 공격력도 낮으며 체력과 방어력도 없다시피 하다.고작해야 몽둥이, 단검등을 들고 오는 근접 부족민을 상대로는 적은 수라면 마비를 걸어 막아주지만,이마저도 부족민들이 투창이나 활을 들고오면 가기 전에 사격받고 드러눕는게 허다할 정도로 좋지 않다.

 

주 용도는 가축으로 우유와 고기의 수급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특수 능력을 살리기 위해서 양산한다기 보다는, 전투에 갑작스럽게 충원 가능한 가축이라는 점이 메리트이다.빠른 번식력과 성장속도 덕분에 수를 불리는 것은 쉽고, 암컷 전기 염소들이 많아지면 우유를 많이 생산하니 숫자로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역시 한번에 뽑을 수 있는 우유의 양은 적은편이고, 가축의 수가 많아질수록 조련사들이 노동해야하는 시간이 늘어나기에 다른 가축들에 비해선 우유 효율이 나오지 않으므로 다수 운영하기가 껄끄러워진다.메카노이드나 곤충을 상대로도 좋지 않기에 여러모로 계륵같은 생물.

 

와일드폰 (Wildpawn)
이동 속도 4.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32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5.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3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05)
최소 조련 레벨 7 이상

한줄 평가 : 온대림 탄환받이 생물

아한대림과 온대림에서 10% 확률로 등장하고 툰드라에서 7%, 건조관목림에서 5% 확률로 등장한다.

 

6일마다 유정란으로 취급되는 와일드폰 포자덩어리를 1개 생성한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28.

도축 시 모피는 나오지 않으며 특이사항으로 고기가 아닌 버섯으로 도축된다.

 

야성 75%, 반격 확률 1.8%로 길들이기는 까다롭고 리스크가 존재한다.

무성으로 취급되어 암수없이 스스로 포자덩어리를 생성하여 번식하는 무성생식을 한다.

 

이 생물의 특징은 높은 방어도.

날카로움과 둔탁함 방어력이 각각 75%씩 되는 정신나간 생물이다.

부위별 체력은 낮지만 관통력이 높은 무기가 아니라면 제대로된 피해를 받지 않는다.

특히 수많은 부족민이 몰려와도 5~7마리의 와일드폰을 상대로는 활이며 단검이며 하는 모든 공격이 잘 통하지 않는다.

 

이렇게 정신나간 방어도 때문에 사냥하기 어렵고 완전무적에 가까워 보이지만, 화염에 극도로 취약하다.

부위별 체력도 낮고 기본 체력 자체도 낮게 책정되어 있지만, 화염에 2배의 피해를 입기에 불에 타면 대부분 즉사해버린다.

인간의 1.4배 크기를 지녀 중형에 가까운 생물이라 잘 맞지만, 특유의 방어도 덕분에 길들여두면 손해는 보지 않는다.

 

천사 나방(Angel Moth)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섬유 자재(천, 옷), 과채 및 씨앗(길들이기 한정)
일일 섭취량 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0.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2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천사 나방 유충 (Angel Moth Larva)
이동 속도 2.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1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옷 뜯어먹는 해충, 혹은 유품 옷 정리하고 천 뽑는 가축

온대림, 온대 습지에서 7% 확률로 생성되고 아한대림, 건조관목림, 사막, 고열사막에서는 5%, 열대우림과 열대습지에서는 4% 확률로 생성되는 희귀한 동물.

 

12일마다 2~5개의 알을 낳고, 이론상 연간 17.5개의 알을 낳는다. 단, 유정일 때만 낳으므로 연간 낳는 알의 갯수는 적을 수 있다.

성장기간은 24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05.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33개이다.

 

곤충으로 취급되어 고기는 곤충 고기를, 가죽은 벌레 키틴을 준다.

야성은 성체 65%, 유충 70%로 머팔로보다 높으며, 벌레 주제에 성체는 2%, 유충은 1.4%의 확률로 반격까지 하므로 길들이기가 까다롭다.

 

유충은 가축판정이지만 성체는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후술할 특수 능력 때문에 허가 구역을 지정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로우니 키울 것이라면 반드시 구역 지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 생물의 특징은 섬유 재질을 섭취하는 것과 나방 실크를 생산해내는 것.

털을 수급하는 것과 같은 취급으로 5일마다 25개의 나방 실크를 생산하며, 하루마다 1~2개의 옷을 섭취한다.

 

나방 실크는 130%의 내구성, 140%의 날카로움 방어도, 36%의 둔탁함 방어도, 100%의 열기 방어도를 가진다.

단열과 방열이 각각 16.0℃로 천보다 2℃씩 떨어지기에 단순 의복용으로는 부적합하나, 미관 300%라는 것 때문에 미관만 따지는 고급 의류 재료로는 뛰어나다.

단, 모든 면에서 뛰어난 악마가닥이라는 상위호환급 천이 있기에 악마가닥을 재배하기 시작하면 나방 실크는 이쁜 쓰레기가 되므로 사실상 필요 없는 재료다.

 

설정상 의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정으로 의류만 보이면 죄다 먹어치워 골머리를 썩힌다.먹는 옷은 종류와 재질, 품질을 따지지 않고 모두 먹어치우며 굉장히 많은 양을 먹어치우기 때문에 여러마리를 키우는 것은 굉장히 난감한 편이다.

야생의 천사 나방은 관리가 불가능하지만, 길들인 천사 나방은 구역 처리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의 옷을 처리하는 생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대 수명이 2년 밖에 되지 않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으며, 품질 이하의 옷들은 그냥 내다 파는게 훨씬 이득이다.

쓸 구석이 하나도 없어보이지만 유품 옷도 가리지 않고 먹기에 습격으로 인해 늘어난 유품 옷을 정리하는데에는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있어 유품 옷 태울 전력을 아끼고 유품 옷을 실크로 바꾸기 위해 몇 마리 키울 순 있다.

 

호위나 공격 명령을 내릴 순 있으나 전투 능력이 형편 없어서 훈련은 딱히 하지 않는다.

써먹기 굉장히 난감하지만, 이녀석들이 몰려다닐 경우에는 창고의 고급 의류가 순식간에 아작나기 때문에 한번 당하고 나면 눈에 불을 켜고 사살하게 되는 해충이기도 하다.

야생에서는 생존력은 전무하여 벽을 견고히 둘러두었다면 포식자에게 잡아먹히는 한끼 식사밖에 되지 않는다.


해당 글은 작성자가 보기 위해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