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 전갈 (Barbslinger) | |
![]() |
|
이동 속도 | 4.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1.6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2.0℃ ~ 6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7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188) |
최소 조련 레벨 | 9 이상 |
한줄 평가 : 맹독 사격지원 생물, 포로잡이 생물
건조관목림에서 50%, 사막에서 30%, 고열 사막에서 10% 확률로 생성되는 포식자형 동물.
10일에 한번씩 새끼를 낳으며, 한번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35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100개이다.
곤충으로 취급되어 고기는 곤충 고기로, 가죽 또한 벌레 키틴을 준다.
야성은 90%로 코뿔소와 같고, 20% 확률로 반격까지 하기에 길들이기 까다롭다.
더군다나 워낙 생물이 별로 스폰되지 않는 지형에 나타나다 보니 인간 사냥도 종종 띄운다.
길들이고 나면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호위와 공격 훈련이 가능하며, 탱킹 역할군으로는 부적절하나 후술할 특수 능력 덕분에 근접림 호위 생물로는 제격이다.
특수 능력은 독과 원거리 공격.
공격력은 높지 않으나 이 생물의 공격에 피해를 입으면 독성 수치가 쌓이고 50%를 넘기면 강제 무력화가 된다.
사거리 20이라는 동물 치고는 긴 사정거리 덕분에 먼 거리에서 생물을 제압하는데에 특화되어 있다.
생물 자체에 방어도가 포함되어 있어 30%의 날카로움 방어도와 50%의 둔탁함 방어도를 지녀 어지간한 무기들에는 흠집도 나지 않고, 스스로 동물을 사냥해서 먹기도 하고 잡식성이라 이것저것 다 먹기 때문에 키울수만 있다면 생각보다 기르기는 편하다.
단점이 있다면 더운 지형 이외에는 살지 못한다는 것.
건조관목림과 사막 등의 지형에서는 상관 없으나 다른 지형에서는 겨울이 오면 무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건조관목림까지는 마이너한 지형이긴 해도 사람들이 하긴 하지만, 사막부터는 해빙 이상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지형이다보니 살아남기도 빡빡해서 기르기 보단 이녀석이 사냥해서 죽은 시체를 보고 있다가 챙겨서 도축하는 자동 도살기계 정도로 취급하게 된다.
이래저래 성능은 뛰어나지만 등장 지형이 쓰레기같다보니 잘 안쓰는 생물 중 하나다.
여담으로, 색상이 검은색과 상아색, 이끼 낀 검은색 등의 세 가지 버전이 있다.
블러드쉬림프 (Blood Shrimp) | |
![]() |
|
이동 속도 | 5.50/초 (인간 4.60/초) |
식성 | 육식성 (날고기, 시체, 음식, 가공 식품, 사료) |
일일 섭취량 | 0.64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0.0℃ ~ 55.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12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75) |
최소 조련 레벨 | 8 이상 |
한줄 평가 : 작은 고추가 더 맵다
건조관목림에서 5% 확률로, 빙상과 해빙, 사막과 고열사막을 제외한 나머지 지형에서 2~0.5% 확률로 생성되는 희귀한 동물.
번식하지 않는다.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40개이다.
블러드쉬림프 고기와 경화 키틴질을 준다.
야성은 80%에 반격 확률 10%로 퓨마와 동일하나 퓨마를 따위로 만들 정도로 훨씬 더 위험하다.
경화 키틴질에 대한 정보는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편의 랩터쉬림프 문단을 참조.
애완동물 판정이라 구역을 지정하지 않으면 이리저리 돌아다닌다.
오물 생산량이 4.0이라서 외부에 두는 것이 미관상 이로우며, 외부에서 이녀석을 죽일만한 생물이 동일한 포식자형 생물을 제외하곤 거의 없을 정도라 풀어놓아도 상관 없다.
특수 능력은 흡혈.
원본에 해당하는 랩터쉬림프의 재생보단 못하지만, 공격할 때마다 상처가 회복되는 기이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어느 정도냐 하면 퓨마랑 1대1로 싸워도 퓨마를 때려죽이고 생체기 몇 개만 나있는 수준.
원종보단 못해도 날카로움 방어도가 무려 50%나 있고 신체 크기가 1이라 중형 생물들보다 한 체급 작아서 사격에 잘 맞지 않는 것이 원종보다 악랄한 편이다.
둔기 등으로 때려 죽여야하는데 앞서 언급한 흡혈 능력 덕분에 강인함에 재빠름 싸움꾼 특성이 붙어있어도 방어구나 무기가 갖춰지지 않으면 역으로 블러드쉬림프가 찢어발길 수 있기에 상대하기 굉장히 까다롭다.
작은 크기 때문에 다른 생물들을 노리진 못하고 오히려 인간 사냥을 적극적으로 띄운다.
덕분에 퓨마보다 더 빠른 녀석이 정착민을 죽여버리는 사냥을 자주 발생시켜 건조관목림에서의 생존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야외 활동중 이녀석들이 때거지로 식인 동물로 몰려오기라도 하면 순식간에 베이스가 아작나는 건 한순간이다.
길들이기만 하면 랩터쉬림프에 비해 사격을 안정적으로 받아내며 싸우는 유익한 생물이 된다.
다만 한번 다치면 대부분 중상이 되버리는 탓에 지속 전투요원으로 써먹기는 어렵다.
노예나 죄수가 탈주할 때 추격하여 발을 묶는 역할은 잘하므로 추적자의 역할로 사용하는 편.
선인장뿔쥐 (Cactipine) | |
![]() |
|
이동 속도 | 4.50/초 (인간 4.60/초) |
식성 |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32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5.0℃ ~ 7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4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38)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핫 갑자기 졸음이ㅣㅣㅣ
건조관목림에서 50% 확률로,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임신기간은 5.66일에 한번으로 1~4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38.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25개이다.
도축 시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를 준다.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에 대해서는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편의 사람지옥 풀 문단 참조.
야성은 75%로 붉은 여우나 코브라와 비슷한 수치이고, 길들이기에 실패하면 20% 확률로 보복한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자체 전투 능력도 형편 없고 일단은 피식자 취급이라 사냥당할 수 있으므로 가축 우리에 지정해주는 것이 좋다.
특징이 있다면 1회용 마취제 가시를 수집할 수 있는 가축이다.
'의료용 선인장뿔쥐 깃'이라는 물품으로 마취 시 생약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생약은 중후반부터는 여기저기 재료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보통은 노예나 죄수 수술 시에 유용하게 소비된다.
의료품용으로 기르기엔 성능이 그저 그렇고, 토끼 같은 도축용으로 기르기에는 먹이 먹는 양이 많은지라 사막 등의 지형에서 기르기 까다롭다.
사막과 같이 생약을 재배하기 까다로운 지형에서는 의외로 쓸만한 약품인지라 몇 마리 기를 순 있으나, 애초에 사막 지형에 사람들이 잘 가지 않으므로 어지간해선 기를 일도 없다는 게 흠.
일반적으로 이 생물을 보게되는 것은 '이상한 드랍포드' 이벤트에서 생성되는 광란 생물로서 자주 보게 된다.
이상한 드랍포드 이벤트는 보통 빨리 해체하여 이 광란 생물이 더 생성되지 않게 하는 편이지만,
사막 등의 지형에서는 보기 까다로운 암브로시아를 모래 위에서도 자라게 해주는 테라포밍을 해주기 때문에 사막 지형에서 살아남는 중에는 굉장히 반가운 소식이 되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름의 어원은 선인장의 영어명인 Cactus와 호저의 영어명인 Porcupine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사막 조류 (Desert Ave) | |
![]() |
|
이동 속도 | 7.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8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0.0℃ ~ 75.0℃ |
훈련시 지능 | 똑똑함 |
기대 수명 | 35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75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낙타보다 좋은 사막 짐꾼
사막에서 80% 확률로, 건조관목림에선 40%, 고열 사막에서 25%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6일마다 한번에 1개의 알을 낳는다. 이론상 연간 10개의 알을 낳는다. 유정일 때에만 알을 낳으므로 실제로는 연간 평균 8~10개의 알을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0.
도축 시에는 새 가죽을 40개 준다.
성장 기간에 비해 주는 고기량이 적어서 도축용으로는 부적합하고,야성은 75%에 길들이기 실패 시 반격 확률이 4%라 자칫하면 사지가 분해될수도 있다.가장 잘 등장하는 사막을 기준으로는 야생풀 한포기도 잘 자라지 않는 탓에 방목도 안되서 더더욱 도축용으로는 좋지 않다.다만 사막에서 지낼 예정이라면 몇 마리는 길들여두는 것이 좋다.
전반적인 능력은 초원 공작과 비슷하다.
똑똑함이라 구조와 운반이 가능하고, 상단 동물인데다 근접 전투 능력도 야생동물 기준으로는 꽤나 준수해서 좋다.
특히 사막에서는 생물 자체가 귀한지라 알이라도 주기적으로 낳을 수 있는 사막 조류는 중요한 식량이자 전투요원이다.
사막 쪽에서 조심해야할 생물은 두니아리스크 어미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사막 조류에게 상대가 되지 못한다.
습격까지 막을 정도로 유능하진 못하지만, 사막에선 포식자라도 잡아주는 게 감지덕지다.
초반에 길들이기 힘들지만 어떻게든 길들이면 유용하다.
다만 이리저리 유랑할 생각이거나 추운 지역으로 이동할 생각이라면 길들이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두니아리스크 (Dunealisk) | |
![]() |
|
이동 속도 | 5.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4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10.0℃ ~ 100.0℃ |
훈련시 지능 | 똑똑함 |
기대 수명 | 12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150 |
최소 조련 레벨 | 10 이상 |
한줄 평가 : 사막 한정 최강의 포식자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 10%, 건조관목림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포식자형 동물.
임신기간은 6일에 한번으로 1~3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80개이다.
도축 시 곤충 고기와 벌레 키틴을 준다.
16일마다 33개의 합성원단을 생산할 수 있고, 포식자이기에 배가 고프면 스스로 사냥한다.
야성은 98%로 원종과 동일하며 거대늘보보다 길들이기가 2배 더 어렵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원종과 달리 특수 능력 때문에 난감하기 때문에 구역을 지정하고 키우는 게 이롭다.
특수 능력은 거미줄 발사와 독.
원종과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점이 있는데, 두니아리스크의 거미줄은 맞은 대상을 불태운다.
거미줄에 적중하면 스턴에 걸리는 능력은 원종과 동일한 주제에 부가 능력으로 태워버리기까지 해서 독이나 물리 피해로 사지가 찢기는 것 이전에 화상으로 타죽는 것을 걱정해야한다.
높은 야성 때문에 길들이기도 힘든데 만약 보복이라도 뜨면 즉시 불타는 거주지와 정착민을 보게될 것이다.
잡식성이지만 육식성 행동양식을 띠고 있어 사냥을 자주하지만, 의외로 영양죽도 잘 먹으므로 영양죽으로 끼니를 해결해줘도 괜찮다.
농작물을 기르기 까다로운 사막의 여건상 합성원단을 주는 두니아리스크는 길들이기만 하면 의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될 정도니 조련 영감이 뜨면 사막에서는 무조건 두니아리스크를 길들이는 것이 현명하다.
가시 공 (Needleroll) | |
![]() |
|
이동 속도 | 2.50/초 (인간 4.60/초) |
식성 | 광합성, 과채 및 씨앗등의 채식성 음식 (길들이기 한정) |
일일 섭취량 | 0.001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0.0℃ ~ 10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4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38)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사막의 귀여운 가축
사막에서 120%, 고열 사막에서 150%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임신기간은 6.66일에 한번으로 1~2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6.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15개이다.
도축 시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를 준다.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에 대해서는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편의 사람지옥 풀 문단 참조.
야성은 60%로 머팔로와 비슷한 수치이고, 보복하지 않는 안전한 생물이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보통 대부분의 가축으로 기르는 번식용 생물은 기지 내부에 지정하지만, 이 생물은 되도록이면 야외에 방치하는 것이 좋다.
자체적으로 둔탁함 방어도 15%를 지니고 있어 몽둥이 찜질 정도로는 잘 쓰러지지 않는다.
특수 능력은 광합성과 독성 원거리 공격.
일반적인 밥을 먹지 않는 대신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흡수하여 태양빛에 따라 건강상태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기르기는 쉽지만 한번 다치면 치료하기가 힘든데, 야외에서 패널티를 가지고 치료를 해야하며 태양을 너무 안보면 기절하고 그대로 방치되면 결국 굶어서 죽는다.
그것만 제외하면 번식도 주기적으로 하고 사막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 생물이다 보니 방목과 목축업이 까다로운 사막에선 유용한 생물이다.
15 사거리의 독성 능력이 있는 원거리 공격도 몇몇 위협적인 생물들을 중독시켜 사냥을 도와주기도 하고, 탈옥한 죄수를 제압하는데에도 요긴하기 때문에 가축 이외의 용도로도 생각보다 쓸만하다.
다만 이동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추격 능력이 형편 없으니 미리 지정해둔 장소의 생체 터렛마냥 운용해야한다.
주는 고기량이 워낙 적어서 고기용 가축으로는 좋지 않지만, 어차피 먹는 것도 없고 광합성만하는데다가 사막 기후에 잘 맞는 선인장 가죽을 주기 때문에 길들여서 번식시키면 장기적으로 식량 문제를 겪지 않을 수 있다.
여담으로 징그럽고 못생긴 생물들이 넘쳐나는 알파 애니멀 모드 중에서도 유난히 귀엽게 생긴 생물 중 하나이다.
바늘기둥 선인장 (Needlepost) | |
![]() |
|
이동 속도 | 3.00/초 (인간 4.60/초) |
식성 | 광합성, 과채 및 씨앗등의 채식성 음식 (길들이기 한정) |
일일 섭취량 | 0.0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0.0℃ ~ 7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6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1) |
최소 조련 레벨 | 5 이상 |
한줄 평가 : 효율 좋은 사막 가축
사막에서 10% 확률로, 건조관목림에서 7% 확률로, 고열 사막에서 4%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임신기간은 10일에 한번으로 1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92.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34개이다.
도축 시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를 준다.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에 대해서는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편의 사람지옥 풀 문단 참조.
야성은 60%로 위의 가시공과 동일하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위의 가시 공과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하기에 야외에 풀어두는 것을 추천한다.
자체적으로 둔탁함 방어도를 30% 가지고 있어서 우라늄 철퇴가 아닌 이상 둔기에는 피해를 잘 입지 않는다.
특수 능력은 광합성과 독성 원거리 공격.
사거리 20의 원거리 능력이 있어 죄수 제압 능력이 탁월하다.
단, 대부분은 도축해도 고기를 얼마 주지 않는 가시 공을 간수로 채택한다.
발견하기는 드물지만 암수 한쌍을 구했다면 사막에서 정착민들이 굶지 않게 만드는 중요한 가축으로 쓰인다.
성장 기간은 가시 공과 같지만 도축 시 가죽과 고기를 더 많이 주므로 여러마리를 기를수록 장기적인 사막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
단점이라면 사막 지형 자체가 거지같아서 안산다는게 단점.
여담으로 징그럽고 못생긴 생물이 많은 알파 애니멀 모드 내에서도 귀여운 편이다.
플라밍고 피닉스 (Flamingo Phoenix) | |
![]() |
|
이동 속도 | 3.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초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45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8.0℃ ~ 4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9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38)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바퀴벌레보다 심한 해충
건조관목림에서 5% 확률로, 사막과 고열 사막을 제외한 곳에서 1~0.5% 확률로 생성되는 해충.
따로 번식을 하지 않지만, 죽을 시 폭발과 함께 1~2개의 알을 생성해낸다.
성장기간은 12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84.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28개이다.
도축 시 새 가죽을 드랍한다.
야성은 40%로 메가스파이더와 동일하나 반격을 하지는 않는다.
가축 판정이기에 울타리 내에 있어야하며, 울타리가 없으면 이탈해버린다.
어지간해선 길들일 일이 없겠지만 만약 길들여서 기를 생각이라면 거주지 바깥에 두는 것이 추천된다.
특수 능력은 폭발과 부활.
죽을 때 폭탄사슴처럼 폭발하는데다가, 정상적인 번식을 하지 않고 죽으면서 1~2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다른 알과 특별히 다른 점은 없지만 일단 태어난 플라밍고는 죽을 때 알을 까니 완전한 박멸을 위해서는 죽고 난 이후에 남은 알까지 파괴해야한다.
나무가 별로 없는 건조관목림에서는 나타나도 상관 없으나, 온대림이나 열대우림과 같은 나무와 풀이 넘쳐나 한번 불타면 진압이 힘든 지역에서는 그야말로 재앙에 가까운 생물이다.
폭탄사슴 무리는 터지면 이후에 볼일이라도 없지만, 이것들은 죽으면 알을 까고 다시 부화하고 다시 터지고 다시 알을 낳는 변태같은 순환고리를 지니고 있어 내버려뒀다간 야외 농작지는 물론 거주지까지 불길이 치솟거나 외벽을 싸그리 날려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스카리아 상태의 인간 사냥이 뜬 플라밍고들이 몰려오면 죽일 때마다 폭발하며 기지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죽은 사체 근처에 낳은 알들이 다시 부화해서 야생으로 풀려나 생태계를 박살내버리는 꼴을 보게 되니 몇번 이것을 경험하고 나면 꼴도보기 싫어져서 모드에서 제외하고 플레이하게 될 것이다.
쓸 방도가 아예 없진 않으나 부산물을 만들어내지도 않고 폭탄사슴의 리스크를 지고 있어서 자폭 돌격용으로 사용할려고 해도 가축으로 지정되어 있어 구역 지정이 되지 않아서 적들이 멍청하게 플라밍고를 근접 공격하길 기도해야하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기르지도 않는 것이 현명하다.
여담으로 이름의 유래는 불타오르는 피닉스(Flaming Phoenix)의 말장난 플라밍고 피닉스(Flamengo Phoenix)이다.
레이저잭 (Razorjack) | |
![]() |
|
이동 속도 | 4.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0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50.0℃ ~ 50.0℃ |
훈련시 지능 | 똑똑함 |
기대 수명 | 4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75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감염 해충
고열 사막에서 7% 확률로, 사막과 건조관목림은 1%, 열대우림과 온대림, 습지에서는 2.5% 확률로 생성되는 포식자형 동물.
임신기간은 10일에 한번으로 1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40개이다.
도축 시 평범한 가죽과 레이저잭 고기를 준다.
야성은 75%로 붉은 여우나 코브라와 비슷한 수치이고, 길들이기에 실패하면 10% 확률로 보복한다.
포식자형 생물이지만 풀이 있다면 야생풀을 먹어서 굉장히 얌전한 편이지만 풀이 없으면 사냥을 한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야생풀을 먹을 수 있고 운반이 가능해서 따로 허가 구역을 배정해줄 필요는 없다.
특수 능력은 감염.
레이저잭의 모든 공격은 40% 확률로 감염을 유발시켜 즉시 감염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근접전을 허용하면 레이저잭에게 물려서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감염으로 인해 죽게 되므로 초중반에는 끔직한 모드 뉴비 절단기가 된다.
길들였을때에는 감염 능력 때문에 포로를 잡으면 치료하는데에 집중해야하고, 재생 능력이라도 있지 않은 한 감염으로 인해 결국 죽게 만드므로 동귀어진으로서의 성능은 출중하나, 애초에 정착지에서는 희생하는 것이 손해이기 때문에 운반용으로 사용하지 킬존에 배치하고 물어뜯게 사용하진 않는다.
여담으로 원본은 림세널 패럴 팩의 레이저투스라는 팩션 동물이다.
거친 피부 큰 도마뱀 (Rough-Plated Monitor) | |
![]() |
|
이동 속도 | 3.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육식성 (날고기, 시체) |
일일 섭취량 | 0.64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10.0℃ ~ 6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37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150) |
최소 조련 레벨 | 6 이상 |
한줄 평가 : 든든한 근접 돌격보병
사막에서 7% 확률로, 건조관목림과 고열 사막에서 5% 확률로, 한대습지와 툰드라에서 1%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8일에 한번씩 1개의 알을 낳는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80개이다.
도축 시 파충류 가죽과 파충류 고기를 준다.
야성은 70%로 코브라보단 길들이기 쉬우나, 길들이기에 실패하면 10% 확률로 보복한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온도에 지장이 있는 툰드라나 한대 습지가 아니면 돌아다녀도 상관 없으나 추운 지역은 동상이 걸릴 수 있으므로 따뜻한 실내에 배치해두는 것이 좋다.
자체 방어도로 둔탁함, 날카로움, 열기에 대한 30%의 방어도를 지닌다.
특수 능력은 산성 면역.
일부 생물들이 사용하는 부식성 산성 공격에 일절 면역이 되어 산성 원거리 공격에 대한 강한 내성을 지닌다.
사막에서는 잘 볼일이 없어서 체감되진 않지만, 산성 공격에 의한 치명적인 피해를 입지 않기 때문에 생각보다 튼튼해진다.
그 외의 특수 사항으로는 알이 부화할 때 폭발하며 사방에 산성 용액을 분사하는데, 이 때문에 정착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위치에 축사를 건설했다간 산성에 림들이 녹아내리는 것을 종종 보게된다.
여기저기 난장판이 되는 꼴이 보고 싶지 않다면 알에는 최대한 근접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아예 알을 못낳도록 성별을 통일 시키는 것이 좋다.
교배 시에는 다행히도 코브라와 달리 알을 먹지 않기 때문에 알을 옮겨줄 필요가 없다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이동 속도가 약간 느리지만 호위와 공격 훈련이 가능하고 자체 방어도가 있다보니 부족민 정도의 무기들에는 쉽게 쓰러지지도 않고 집요하게 적을 물고 늘어져서 사지를 물어뜯는다.
A Dog said 모드와 같은 동물 보철물 모드가 있다면 속도 문제를 보조할 수 있고 더욱 단단하고 높은 공격력을 갖추게 할 수 있어 전투 능력만 보고 채용해도 쓸만하다.
마냥 단점이 없는 생물도 아니다.
와르그가 늑대와 달리 길들이기 쉬워도 기르기 까다로운 이유가 시체와 생고기만 먹기 때문이므로, 어지간히 고기를 잘 채워두지 않았다면 금세 굶어죽게 된다.
포식자형 생물이라 사냥이라도 하러 다니긴 하지만, 이녀석이 나오는 곳은 사막과 툰드라 같이 사냥할 생물을 보기 어려운 지형이라 와르그랑 달리 쉽게 굶는다는 게 단점이다.
정착지가 어느정도 성장했고 수경재배가 가능해서 목축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기르기 수월하나, 그 시점쯔음 가면 대부분 적 무장도 만만치 않고 메카노이드도 심심찮게 등장하기 때문에 제대로 써먹기는 어렵다.
이리저리 계륵인 생물이지만, 초중반부에 식량 감당만 가능하면 유능한 전투원으로 활약한다.
모래사자 (Sand Lion) | |
![]() |
|
이동 속도 | 6.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육식성 (날고기, 시체,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사료) |
일일 섭취량 | 0.4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10.0℃ ~ 100.0℃ |
훈련시 지능 | 똑똑함 |
기대 수명 | 18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150 |
최소 조련 레벨 | 7 이상 |
한줄 평가 : 어딜 쏘시는 거죠? 그건 제 잔상입니다만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 10% 확률로, 건조관목림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임신기간은 10일에 한번으로 1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80개이다.
도축 시 모래사자 가죽과 사자 고기를 준다.
모래사자 가죽은 150%의 내구도와 날카로움, 둔탁함 방어도를 각각 124%, 24% 만큼 가진다.
열기 방어도는 150%, 단열 14℃와 방열 36℃에 미관 200%를 가지고 있어 사막과 같은 더운 기후의 의상을 만들 때 유용한 편이다.
야성은 90%로 코뿔소와 동일한 수치이고, 길들이기에 실패하면 20% 확률로 보복해서 길들이기 까다롭다.
길들인 이후에는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사막의 대형 포식자 위치에 해당해서 어중간한 생명체들은 다치지도 않고 상대하니 풀어놓는 게 좋다.
특수 능력은 원거리 공격 회피.
모래바람을 둘러서 모래사자가 제대로 조준되지 않게 만든다. 정확도 패널티를 받은 것처럼 총탄이 빗나가기 때문에 사실상 원거리 공격을 무시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특수 능력 덕분에 모래사자는 잘 맞지 않아서 사냥이 까다로운데, 인간 사냥이라도 뜨는 날엔 사생결단을 내야할 정도다.
워낙 상대하기 까다로운 만큼 길들이고 나면 대다수의 전투에서 맹활약을 한다.
대다수가 원거리형인 메카노이드들을 상대로도 탄환받이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며, 부족원들과 같이 어정쩡한 무장은 어림도 없고 우주 해적들이 로켓포라도 들고와야 위협이 될 정도로 잘싸운다.
거기다가 왠만한 동물들은 대부분 모래사자에게 상대도 안되고 먹잇감이 될 뿐이라 풀어놓는다고 위협당하지도 않고, 운반도 가르칠 수 있어서 퓨마나 표범보다 든든한 동물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이 있다면 모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특수 능력이 발동되지 않는다.
그래서 모래 타일이 없는 다른 지형에서는 그냥 덩치크고 좀더 강한 퓨마나 표범 1 정도로 그치기에 사막에서만 강력하다는 점이 문제로 꼽힌다.
모래 배회자 (Sand Prowler) | |
![]() |
|
이동 속도 | 4.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육식성 (날고기, 시체,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사료) |
일일 섭취량 | 0.16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0.0℃ ~ 7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18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135) |
최소 조련 레벨 | 6 이상 |
한줄 평가 : 모래만 있으면 최강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 10% 확률로, 건조관목림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포식자형 동물.
임신기간은 10일에 한번으로 1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80개이다.
도축 시 경화 키틴질과 퓨마 고기를 준다.
경화 키틴질에 대해서는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편의 랩터 쉬림프 문단 참조.
야성은 65%로 와르그보다 높은 수치이고, 길들이기에 실패하면 10% 확률로 보복한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운반이 되지 않아서 평상시에는 실내에 지정해두는 것이 좋다.
특수 능력은 모래 수영.
모래 타일 위에 있다면 스프라이트가 수영 상태로 변경되며 날카로움과 둔탁함 방어도를 75% 추가로 얻는다.
이 때문에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는 사냥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사냥하려면 흙이나 자갈, 혹은 바위 타일 위로 끌고와서 사냥해야하며, 모래밭이 상대적으로 적은 건조관목림에서도 인간 사냥이 뜨면 최대한 모래밭이 아닌 곳으로 유도해야한다.
길들인 상태에서는 위의 모래사자와는 달리 총탄이나 무기로 두들겨 맞아도 모래 타일 위에만 있으면 피해를 전량 흡수하는 미친 탱킹 능력을 발휘한다. 화염 계통의 공격에 취약하긴 하나 사막 지역은 나무나 풀이 안자라서 화재가 퍼질 걱정 안해도 되기 때문에 그냥 소집 안하고 정착지에 넣어둬도 상관 없다.
단점이 완전히 없다기엔 이녀석도 고질적으로 '사막'과 '모래'라는 곳에 너무 의존하기 때문에 다른 지형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특히 자손을 불리기엔 등장 확률이 너무 적은데다가 임신 기간과 성장 속도도 너무 느려서 제대로 번식시키기가 까다로운 편.
특히 내산지 플레이를 한다면 곤충 군락등을 상대할 때 사실상 잉여가 되기 때문에 내산지의 이점을 포기하고 야전을 강제해야한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모래징어 (SandSquid) | |
![]() |
|
이동 속도 | 1.00/초 (인간 4.60/초) |
식성 |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
일일 섭취량 | 0.08 (간단 식사 0.9) |
적정 온도 | -10.0℃ ~ 100.0℃ |
훈련시 지능 | 중간 |
기대 수명 | 25년 |
운반 가능한 수량 | 0(수치상 150) |
최소 조련 레벨 | 6 이상 |
한줄 평가 : 사막 농사꾼
건조관목림에서 50% 확률로, 사막과 고열 사막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동물.
임신기간은 12일에 한번으로 1마리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19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280.
도축 시 가죽을 주지 않는다.
도축 시 오징어 고기를 준다.
야성은 70%로 붉은 여우나 코브라와 비슷한 수치이고 보복하지 않는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특수 능력 때문에 이리저리 돌아다니게 하는 것이 좋지만, 제대로 활용하려면 구역 지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수 능력은 토양 비옥화.
모래 타일은 본래 식물을 심을 수 없으나, 모래징어는 길들인 이후 무작위 모래 타일을 가끔씩 비옥한 모래 타일로 변경한다.
비옥한 모래 타일은 70%의 토질을 가지며, 해당 타일을 한번더 개간하면 토질 85%의 매우 비옥한 모래 타일로 변경한다.
일반적인 토양보다는 못하지만, 농사하지 못하는 타일을 자갈과 비슷한 타일로 변경해주는 만큼 쓰레기같은 사막 지형을 살 수 있게 만들어주는 유익한 생물이다.
단점이 있다면 이 글에서 누누히 말했든 사막 자체에서 생존을 하지 않은 비선호 지형이라는 것이고, 보통 사막에서 모드를 끼고 도전한다면 지형 개간 모드를 가지고 하는 편이기에 모드 하나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난잡하게 땅을 개간해대서 높은 확률로 개판을 만들어 놓기 쉽상이다.
사막이 적막하지 않게 만들려고 많은 노력을 들인 듯한 생물이지만 어떤 것을 넣어도 사막 지형이라는 큰 패널티를 상쇄시킬 만큼의 메리트를 가진 생물이 없다는 것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생물을 길들이고 농사를 짓지 않는다.
차라리 농사할 노동력을 아끼고 가시 공이나 바늘기둥 선인장 교배를 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에 선호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해당 글은 작성자가 보기 위해서 작성했습니다.
'게임 관련 > 림월드 모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0) | 2023.04.30 |
---|---|
Alpha animals 모드 - 온대림 생물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