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사진은 0.14.0.1 버전이며, 0.21.0.1 버전, 0.23.0.1 버전에서 난이도 선택창이 대폭 변경되었다.
뭔가 많아지고 다소 복잡해진 것처럼 보이지만, 0.14.0.1 버전 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난이도들의 차이점을 눈으로 보고 비교할 수 있게 변경되었고 일부 점수 점수들이 하향되거나 상향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난이도 기본 지정은 120%이다. 게임이 너무 어렵다면 난이도를 신경쓰지 않고 플레이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도전 의욕이 샘솟고 갤러리를 해금하고 싶다면 베이스 100%를 목표로 두는 것이 좋다.
Reaching 0 hp (체력이 0에 도달하였을 때) 전투로 인해 체력이 0이 됬을 때의 설정이다. 초보는 Nothing을 추천한다.
- Nothing (없음, *0.7) : 전투로 인해 체력이 0이 되어도 별다른 이상이 없다.
- Injury (상해, *1.0) : 기본 설정. 전투로 인해 체력이 0이 되면 더이상 전투를 할수 없게 되며, 집에 돌아와서도 전투원으로 배치가 불가능해지고, 출생률과 정력이 50% 떨어진다. 숙소에서 3~5일 정도 쉬게 하거나 주기적으로 장터에 나타나는 의사에게 돈을 주고 치료받을 수 있다.
- Death (죽음, *1.3) : 전투로 인해 체력이 0이 되면 캐릭터는 죽는다. 상처입은 상태와는 달리 캐릭터가 사라지는 형태이기에 죽은 동료는 되돌아오지 않는 높은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진영 주인공이나 마을 NPC들은 해당되지 않는다. 마을 NPC가 죽은 경우엔 호감도가 깎이지만 다시 영입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 0.22.0.1 버전 이전에는 점수가 1.5배 였었다.
Mc Point (메인 캐릭터 포인트) 진영 주인공에게 얼마나 능력치 투자를 할 수 있는 지를 가리킨다.
- 0 (*1.6) 특성 투자를 할 수 없고, 직업 선택에 제약을 받는다. 600% 챌린지를 클리어를 위해 사용된다.
- 10 (*1.4) 직업 선택에 제약은 없지만 특성 선택에 제약을 받는다.
- 20 (*1.1) 기본 설정. 의외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적다.
- 30 (*0.7) 특성 선택을 더 많이 할수 있다.
- 50 (*0.5) 스텟 분배까지 신경쓸 수 있다. 갤러리 해금 목적이 아니라면 가장 좋다. 0.14.0.1 때까지는 점수가 0.35배 였기에 사실상 선택하는 순간 갤러리 해금을 못하는 난이도였다.
Starter Point (스타팅 캐릭터 포인트) 함께 시작하는 몬무스 두 명에게 얼마나 능력치 투자를 할 수 있는 지를 가리킨다.
- 0 (*1.2) 일부 마이너스 특성을 배치하지 않는 한 스텟 분배가 불가능하다.
- 10 (*1.1) 마이너스 특성을 배치하지 않는 한 스텟 분배가 까다로워진다.
- 20 (*1.0) 기본 설정. 의외로 특성이나 스탯 분배를 선택하기 까다롭다.
- 30 (*0.8) 스탯 분배에 더 신경 쓸수 있거나 기본 설정에서 특성을 추가할 수 있다.
- 50 (*0.6) 갤러리 해금 목적이 아니라면 자유롭게 특성과 스탯 분배가 가능하다.
Starting Money (시작 자금) 플레이 해본 결과 크게 상관은 없지만 뭐든 많으면 좋다.
- -1,000 (*1.3) 0.22.0.1 버전부터 생겼다. 자금이 -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실상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 100 (*1.15) 시작 자금이 적어서 바로 탐험하기는 힘들다. 아르바이트든 뭐든 해서 초반 자금을 모아야 한다.
- 500 (*1.0) 기본 설정. 간단한 아이템 몇 개 정도 살 수 있다.
- 1,000 (*0.9) 파티 무장은 기본이며 남는 돈으로 시설 건설에 투자도 가능하다.
- 2,000 (*0.8) 가장 많은 돈으로 시작할 수는 있지만, 시작 자금은 많거나 적거나 별반 차이는 없다.
Game Length (게임의 길이) 해당 기간이 다 되면 바로 엔딩을 결정짓는 마지막 미션이 등장한다. 마지막 미션을 클리어 하지 못하고 이어하기를 하면 치트 플레이로 간주하여 갤러리 해금이 불가능해지고, 마지막 미션을 클리어하면 New game+로 넘어갈 수 있다.
0.21.0.1 버전 이전에는 게임 길이에도 점수 보정이 붙었지만, 21 버전을 기점으로 점수 보정이 사라졌다.
- Fast (빠름, 15일에 끝남.) 빠르게 회차를 돌 수 있는 엔딩 스피드런용 설정. 왕의 퀘스트를 1번 실패하면 패배하고, 여관 퀘스트는 수주하지 않으면 4일 내로 소멸하고, 정수 던전이 3일 주기로 열리며, 7일 이후로 4일 주기로 아티팩트 던전이 열린다. 여러모로 빨라지는 템포 탓에 교배할 시간이 없어 알 부화 속도가 50% 빨라진다.
- Normal (기본, 30일에 끝남.) 기본 설정. 왕의 퀘스트를 2번 실패하면 패배한다. 여관 퀘스트는 수주하지 않으면 5일 내로 소멸하고, 정수 던전이 4일 주기로 열리며, 12일 이후로 5일마다 아티팩트 던전이 열린다. 기본 설정이니 만큼 이 난이도로 게임에 익숙해지는 게 좋다.
- Long (긺, 60일에 끝남.) 길게하며 아티팩트를 많이 먹으면서 할 수 있는 설정. 왕의 퀘스트를 3번 실패하면 패배한다. 왕의 퀘스트 주기가 10일 주기로 만료되므로 20일 동안 퀘스트를 하지 않으면 패배한다. 여관 퀘스트는 수주하지 않으면 5일 내로 소멸하고, 정수 던전이 6일 주기로 열리며, 17일 이후로 8일마다 아티팩트 던전이 열린다.
- Free Play (자유 플레이) 왕의 퀘스트를 하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스토리 진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토리 진행을 제외한 캐릭터 자체의 갤러리 해금을 주 목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왕의 퀘스트를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면 이쪽으로 플레이하며 플레이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다.
Saving Type (저장 방식) 저장을 하는 방식을 말한다.
- Unlimited (제한 없음, *0.8) 본래는 이쪽이 기본이였지만 0.22.0.1 버전 이후로는 쉬운 난이도로 변경되었다. 오버월드로 여행을 떠난 상태에서도 퀵 세이브와 로드를 통해서 유리한 상황으로 불러올 수 있다.
- Only Town (마을에서만 저장 가능, *1.0) 기본 설정. 퀵 세이브를 전투하기 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여행을 떠나기 전에 저장하는 습관을 들여야한다. 전투가 한번 수틀리면 저장한 곳부터 다시해야한다.
- Limited (제한, *1.3) 게임의 길이에 따라 3(짧음), 5(보통), 10(긺), 50(자유 플레이) 만큼 세이브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모든 세이브 횟수를 소모하면 더이상 세이브가 되지 않는다
0.21.0.1 버전부터는 교배 중점과 융합 중점을 시작할 때 고를 수 있게 되었다.
- Breeding+ 는 교배에 올인하는 것으로 교배시 특성이 유전될 확률이 75% 증가하고 알의 유전자를 최대 3번까지 찍을 수 있게 된다. 단, 융합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융합을 하지 않을 생각일때만 고르는 것이 좋다. 교배 중점+을 선택하면 메인 캐릭터 포인트 선택시 추가로 5점을 더 선택할 수 있게 된다.
- Breeding은 교배에 중점을 둬 교배시 특성이 유전될 확률이 50% 증가하고, 융합은 가능하지만 융합시 특성이 1/2 확률로 붙게되고 융합 시 크리스탈을 더 많이 소모한다.
- Both는 기본 세팅으로 어디하나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 어느 한쪽도 패널티가 없기에 처음해볼땐 해당 특성을 고르는 것이 좋다. 교배로 특성이 유전될 확률이 35%, 융합시 특성이 1개 확정으로 붙는다.
- Fusion은 융합에 중점을 둬 융합 시 특성 2개를 확정적으로 붙고 유전자 손해를 보지않고 합성할 수 있다. 다만 교배시 특성 유전이 25%로 떨어지고 알의 유전자를 최대 1번만 부여해줄 수 있게 된다.
- Fusion+는 융합에 올인하는 것으로 특성 3개를 확정적으로 붙일 수 있고 유전자를 손해보지 않으며, 수영이나 요리 등의 배우는 특성도 계승될 수 있다. 또한 융합 시 필요한 크리스탈이 줄어든다. 단, 교배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농장에서 짝을 지어둬도 알을 낳지 않는다. 융합 중점 +를 선택하면 스타터 캐릭터 포인트 선택시 추가로 5점을 더 선택할 수 있다.
왕이 퀘스트를 내는 방식을 어떤것으로 할지 정한다. 퀘스트 하나당 모드 배수가 0.3을 차지하며, 모든 왕의 퀘스트는 10일 내로 결판을 봐야하며, 가끔씩 귀찮은 일을 던져주기도 한다. 4개가 기본이며, 퀘스트 종목을 빼면 그것만 신경쓰면 편해지지만, 난이도 %가 낮아지므로 주의해야한다.
- Breeding (교배) 특정 유전자를 요구하는 몬무스를 헌납해야 한다.
- Portal-Exploration/Fights (차원문 여행/전투) 특정 차원문을 어느 정도 탐험하거나 몇번의 전투를 승리하라고 한다.
- Combat/Arena (전투/아레나) 아레나에서 몇번의 전투를 하거나 왕의 병사를 어느 랭크까지 달성하라 말한다.
- Training (훈련) 무작위로 선별된 기본 종족의 몬무스 2명을 전투 훈련하거나, 성애기술을 올려야한다.
보너스를 부여하면 난이도를 높일수도 있다. 대부분은 여행에 패널티를 주지만 여행이 아닌 것에도 패널티를 주는 것이 있으니 아무렇게나 막 누르다간 게임에 대한 이해도 하기전에 게임이 개판이 될 확률이 높다.
0.23.0.1 버전 이후로 여러가지가 추가되었으며, 게임의 양상을 바뀌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Gacha (가챠, 0%) 하루마다 무작위 캐릭터 하나를 얻는다. 대신 알의 부화 성공률과 스트립 쇼 / 전투 중에 영입 확률이 -75%로 줄어든다. 또한 여관에서 구매 가능한 캐릭터들의 가격이 10배 증가한다.
- Easy (쉬움, 0%) 메인 캐릭터의 스테미나 회복률이 2배가 된다.
- Unique Starter (특별한 시작, 10%) 정령을 원하는 만큼 부를 수 없고 게임 시작시에 한 마리를 지급받는다.
- Dating (연애, 5%) 마을 NPC를 영입하려면 반드시 연애를 해야만 한다.
- Armored (무장한, 20%) 모든 적들의 방어력이 2 증가한다.
- Wild (야생, 15%) 여행 때 전투 시 무작위 꽃 2마리가 적의 편에서 등장한다.
- Dangerous (위험한, 10%) 차원문에 명시된 인카운트 기본 레벨보다 +2 더 높은 적들이 등장한다.
- Resolve (결의, 10%) 적이 높은 모랄을 가지고 시작하여 전투중 영입이 어려워진다.
- Unprepared (준비되지 않은, 15%) 기습 전투 시작과 동일하게 일반 전투 시작시에도 행동 수치가 2에서 1로 줄어든다.
- Adamant (견고한, 10%) 후퇴한다는 선택지가 사라진다. (모의 훈련도 포함)
- Rivalry (경쟁, 20%) 상대의 세력이 50% 빠르게 성장한다. (적 진영과 왕의 세력 성장 속도 증가)
- Taxes (구실, 15%) 첫 시작때 부터 -100원이 빠져나가며 하루가 지날때 마다 20원씩 더 빠진다. (-120, -140...)
- Wasteful (낭비적인, 10%) 건물을 짓는데 들어가는 자원과 비용이 2배가 증가한다.
- Hostlie (호전적인, 10%) 전투시 만나는 적을 영입할 수 없다. 야생동물도 마찬가지이다.
- HighStandards (높은 기준, 10%) 창관 점수가 50% 줄어든다. 창관 수입이 반토막 나는 것과 같다.
- Sparse (부족한, 15%) 새로 열리는 포탈의 수가 줄어든다.
- Teeming (티밍, 10%) 무작위 인카운터의 확률이 50% 증가한다.
- Raiders (약탈자들, 20%) 이벤트 지점 근처나 귀환하기 전 포탈 근처에 도적 무리를 조우할 확률이 생긴다.
- Sleepless (불면증, 30%) 피로 수치의 회복이 50% 줄어든다.
- Unlimited (제한풀린, 0%) 모든 캐릭터들에게 최대 스텟이라는 개념이 사라진다 (적 캐릭터도 동일함)
- Harsh (가혹한, 15%) 모든 포탈이 까다로운 지형에 생성된다. (바다, 용암, 동굴, 공중섬 등등) 처음 생성되는 포탈들 중에는 공중섬이 생성되지 않는다.
- Advancing (강화되는, 3%) 포탈이 자연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포탈의 적대감이 시간이 지나도 증가하지 않으며, 포탈의 지도를 50% 이상 밝힌 이후에 받는 보상으로 적대감이 +1된 새 포탈을 생성한다. (이벤트성이나 왕의 퀘스트로 추가되는 포탈은 해당되지 않음)
- ElementalLock (속성 잠금, 10%) 포탈을 통과하기 위해선 파티원들의 속성이나 종족값이 통일되어 있어야한다. (메인 캐릭터는 제외)
- Diminished (감소된, 0%) 모든 캐릭터들의 능력치 성장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스킬 코스트가 2배 증가한다.
100% 난이도를 기준으로 초보에게 추천하는 난이도는 다음과 같다.
Free play는 원래 점수 보정이 달려있어서 패널티가 심했지만, 버전이 올라가면서 개편되어 점수 보정 상관없이 왕의 퀘스트나 이벤트에 쫓길 필요 없이 게임에 적응하듯이 길게 게임할 수 있어져서 나름 뉴비들도 편하게 갤러리와 특성 해금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패널티 없음은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에게 추천된다. 결투장 등에서 전투 후 패배시의 패널티 때문에 다시 도전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막대한 돈으로 치료받아야하기 때문에 몇번이고 박치기 하면서 배우기엔 해당 난이도가 적당하다.
스타팅 캐릭터의 포인트가 0인 것은 1회차 플레이를 기준으로 잡은 것이다. 첫 게임을 시작할땐 강력한 스타팅 캐릭터를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사실상 포인트의 의미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게임에 익숙해지고 종족별 메리트를 체감한 뒤에는 다른 패널티를 줘가며 스타팅 캐릭터에 적절한 특성을 붙여주고 게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교배나 융합의 경우, 개인적인 취향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둘 다 패널티 없이 이용해 본 다음 자신에게 맞는 쪽으로 특화된 걸 고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추가로, 보너스에서 Easy를 누르면 더 쉽게 플레이 할 수 있다. 스테미나 회복력이 2배가 되므로 스태미나 관리가 쉬워진다. 그냥 플레이하더라도 Easy 보너스는 게임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선택하도록 하자.
쉬운 난이도를 통해 게임에 익숙해진다면, 높은 난이도로 도전하여 갤러리와 여러가지 특전 특성 등을 받아보자.
게임에 익숙해진다면 스토리 모드인 날짜 제한으로 플레이 하는 것을 추천한다. 스토리 모드만이 줄 수 있는 메리트도 분명히 존재함으로 도전할 필요는 충분히 있다.
'게임 관련 > Portals of Phere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Portals of Phereon, 각 진영의 특성창 사용에 대하여 (0) | 2019.11.01 |
---|---|
19) Portals of Phereon, 기본적인 캐릭터와 집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0) | 2019.10.31 |
19) Portals of Phereon, 첫 동료 선택법 (0) | 2019.10.29 |
19) Portals of Phereon, 진영 및 직업 설명 (0) | 2019.10.26 |
19) Portals of Phereon, 흔치 않은 몬무스 게임 (0) | 201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