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관련/림월드 모드 관련

Alpha animals 모드 - 열대우림, 습지 생물

마물 대백과사전 2023. 4. 30. 08:56
해악충 (Bed Bug)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4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70.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12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38)
최소 조련 레벨 7 이상

한줄 평가 : 마비 해충

각종 습지 지형과 열대우림에서 7% 확률로, 온대림과 아한대림에서 3% 확률로 등장하는 해충.

 

6일에 한번씩 1~3개의 알을 낳으며, 무정란도 낳을 수 있어 연간 2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7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25개이다.

 

도축되는 고기는 곤충 고기이며, 가죽은 벌레 키틴으로 분류된다.

성장 속도에 비하여 기대 가능한 고기량이 낮으며 고기가 곤충 고기인 탓에 쓸모없는 고기로 취급된다.

만들어내는 무정란의 경우에는 달걀과 큰 차이는 없으나, 축산물을 먹을수 있어 자신의 유정란을 먹어치우기도 한다.

 

애완동물로 취급되며 울타리를 넘나다니고, 훈련이 되지 않는다.

야성은 75%로 야생 머팔로나 기간텔로프보다 높으며, 20% 확률로 반격한다.

포식자로 취급되지만 크기가 작은 탓에 어지간해서는 인간 사냥을 띄우지 않는다.

 

특수 능력은 마비독이 있는 물기.

평균 7의 공격력을 지니고 있으며 느린 공격 속도를 가지고 있어 크게 위협이 되진 않지만, 물리기 시작하면 마비독 때문에 빠르게 쓰러져 전투 불능 상태가 된다.

하지만 1마리의 광란 해악충으로는 마비독으로 쓰러질 일이 적어 단검 혹은 장검만 있어도 격투 4의 림이 제압가능할 정도로 체력도 낮고 굉장히 약하다.

 

다만, 가치가 낮고 마비독이라는 특성상 대량의 식인 동물이나 집단 광란이 뜨면 굉장히 머리가 아파지는데, 식인 해악충이 몰려오는 경우 높은 격투 레벨을 지닌 림이라도 공격을 허용하기 시작하면 순식간에 마비독 수치가 쌓여 쓰러지며 식인 해악충은 기본 5~10마리부터 시작하여 몰려오며, 기지 가치가 높아질수록 100마리가 넘는 숫자로 몰려올 수 있어 굶어죽을때 까지 기다리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오기전에 화력으로 쓸어버려야한다.

 

다행히도 해악충은 최대 0.5의 허기를 지니고 있으며 하루마다 0.4의 열량을 필요로 하므로 2~3일 정도만 문을 닫고 지내면 금방 굶어죽기 때문에 대처하기가 까다롭지는 않다.

 

직접 사용하기에는 굉장히 애매한 생물로, 잡식성이라 이것저것 잘 먹일 수는 있지만 훈련시킬 수 없어 쓸모가 없다.

많은 양을 키우기엔 크기에 비하여 다른 생물보다 많이 먹는다. 도축해도 곤충 고기를 주기에 도축용으로도 별로다.

가치가 낮은 생물이라 달걀 대신 무정란을 생산하는 가축으로 사용하려고 하면 닭보다 기지 가치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는 마땅히 쓸만하지 않다.

 

여담으로 이름 Bed Bug의 뜻은 침대나 벽틈 사이에 숨어서 살며 피를 빠는 벌레인 빈대의 영문명이다.

 

호박말벌 (Bumbledrone)
이동 속도 5.00/초 (인간 4.60/초)
식성 채식성 (과채,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4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25.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1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59)
최소 조련 레벨 4 이상

한줄 평가 : 암살자, 혹은 감옥 경비병

열대우림에서 10% 확률로 생성되며, 빙상과 해빙, 고열 사막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7% 확률로 1~2마리씩 생성된다.

 

번식하지 않는 무성 생물이며, 야생에서는 이들을 번식시킬 수 없다.

성장기간은 13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11.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34개이다.

 

고기는 곤충 고기, 가죽은 벌레 키틴으로 구성된다.

야성 80%에 야생풀을 먹을 수 있어 방목이 가능하다.

그 외에 부가적으로 생성하는 가축으로써의 능력은 전무하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훈련시 지능은 중간이라 호위나 공격을 훈련시킬 수 있다.

 

특수 능력은 독과 부유. 해당 생물은 지형을 무시하고 고정된 이동 속도로 움직인다.

공격력이 3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공격 마다 독성이 축적된다.이 독은 코브라와 비슷한 독이지만, 50% 이상 중독된 채 죽어도 썩지 않기 때문에 포로 제압에 용의하다.

 

높은 야성과 맞물려 길들이는 것은 굉장히 힘들며, 막상 길들인다고 해도 번식하지 않아 여러모로 뭔가 부족한 편.메카노이드는 기본적으로 독성에 면역이며 동물 카운터인 화염 공격을 달고 오기에 메카노이드에게 덤비면 안된다.무장된 적을 상대로는 굉장히 까다롭지만, 포로의 탈출이나 노예의 반란을 막기 위해서 기용될 때 굉장히 안전하게 잡을 수 있다.

 

그다지 높지 않은 공격력의 특성상 탈출하면 죽여버리는 여타 생물들과는 달리 온전한 신체를 남긴채 제압이 가능하고,독의 특성상 많이 중독될 경우 의식을 떨어뜨려 정확도와 조작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길게 싸울수록 호박말벌이 유리하다.

이 덕분에 감옥의 간수나 노예의 반란 감시용 생물로 최적화 되어있는 편.

 

이 생물들을 번식시키려면 '호박말벌 이동'이라는 이벤트로만 등장하는 호박말벌 여왕을 길들여야 하며, 호박말벌 여왕은 다수의 호박말벌과 함께 등장하며 트럼보처럼 잠깐동안만 자리에서 머무르니 잽사게 길들여야한다.

여왕이 없다면 번식시킬 방법이 없지만, 한 두마리 정도를 길들여두면 예기지 못한 탈옥을 막는데 일조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해당 생물은 식인동물로 잘 등장하지 않는다.

 

페라리스크 (Feralisk)
이동 속도 5.50/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축산물,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4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2.0℃ ~ 60.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12년
운반 가능한 수량 75
최소 조련 레벨 10 이상

한줄 평가 : 합성원단 가축, 굉장히 좋은 원거리 생물

온대습지, 열대습지, 열대우림에서 15% 확률로 생성되며, 온대림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포식자.

 

6일마다 1~3개의 알을 낳는다. 무정이여도 낳을 수 있어 연간 20개의 알을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40개이다.

 

곤충 고기와 벌레 키틴이 나오는 곤충으로, 도축용 가축으로는 가치가 낮다.

22일마다 33개의 합성원단을 생산할 수 있으며, 포식자로 취급되며 배가 고프다면 생물을 사냥하여 잡아먹는다.

후술할 특수 능력에 의해서 야생에서의 위치는 상처를 잘 입지 않는 상위 포식자에 가깝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98%에 이르는 높은 야성 덕분에 길들이기는 거대늘보 보다 어려우며,

10% 확률로 반격까지 하기에 길들이는 리스크가 있어 안전하게 길들이려면 조련 영감이 필요하다.

 

특수 능력은 거미줄 발사와 독.

페라리스크는 사냥 시, 혹은 소집 시 적에게 20의 사정거리를 지닌 거미줄을 분사할 수 있다.

이 거미줄은 한번에 3번씩 뱉어내며, 메카노이드와 생물을 가리지 않고 맞은 대상에게 긴 시간 스턴을 부여한다.

 

야생의 페라리스크는 거미줄을 분사한 뒤, 상대방이 기절에 걸리면 다가와 그제서야 공격하기 시작하며,

페라리스크의 근접 공격은 코브라와 유사한 독이 있어 많이 중독시키면 의식을 흐리고 결국 쓰러지게 만든다.

유독성 낙진에 기반한 독성으로 공격하는 코브라와는 달리 페라리스크의 독은 중독으로 죽어도 썩지 않는다.

 

합성원단을 얻을 수 있는 경로 중 유일하게 자원이 많이 들지 않는 경로이며,

뛰어난 전투력과 보조 능력, 구조와 운반이 가능한 가축으로도 전투용 생물로도 뛰어난 생물이다.

발목 잡는 것은 높은 야성과 번식으로 태어나는 유생들은 길들여지지 않은 채 태어나기 때문에 번식이 까다롭다는 것이다.

 

여담이지만, 해당 모드에는 징그러운 벌레가 많은 편이지만 페라리스크는 그 중에서도 유독 둥글둥글 귀엽게 생겼다.

왠만한 곤충들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페라리스크를 키우는데에 거부감이 들지 않아 귀엽다고 평한다.

업데이트 이후로 추가된 현실적인 그래픽을 적용하게 되면 굉장히 긴 다리 덕분에 호불호가 갈린다.

 

나선 달팽이 (Helixien)
이동 속도 0.60/초 (인간 4.60/초)
식성 시체 선호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4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40.0℃
훈련시 지능 훈련 불가
기대 수명 74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
최소 조련 레벨 3 이상

한줄 평가 : 무드 디버프에 치중된 괴랄한, 최고 효율의 도축 생물.

온대습지와 열대습지에서 7% 확률로, 열대우림에서 3%, 온대림에서 2% 확률로 생성되는 생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19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560.

도축 시 가죽은 나오지 않는다.

 

고기는 나선 달팽이 고기로 생성되며, 다른 생고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야성은 40% 로 맷돼지보다 조금 낮으며, 20% 확률로 반격한다.

야생풀을 먹는다고 적혀있지만 시체 먹는 것을 우선시 하며, 시체가 없다면 그제서야 풀을 먹는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가축이 아니지만 오물 생성량이 8을 넘어가므로 실내에 방치해선 안된다.

왠만하면 방목하는 울타리 내에 허가 구역을 지정하여 같이 기르는 것이 좋다.

 

특수 능력은 시체 부식과 무드 저하.

나선 달팽이는 자신을 기준으로 8타일 이내에 부식성 가스를 생성하며, 달팽이 근처에 시체가 있다면 빠르게 부식한다.

이 과정에서 시체에선 부패액과 비슷한 담즙을 생성하며, 시체는 빠르게 손상되어 시체를 제거한다.

 

나선 달팽이는 이렇게 생겨나는 부패액 내지 담즙을 먹는 것을 선호하며, 시체가 없다면 풀을 뜯어먹는다.

살아있는 림이 달팽이를 기준으로 8타일 내에 근접하면 24시간 동안 무드를 5만큼 깎는 디버프가 생긴다.

이러한 탓에 일반적인 정착지에선 나선 달팽이가 주변에 나타나면 무드를 갉아먹어 성가신 편.

 

무식하게 느린 이동속도 덕분에 반격이 뜨더라도 왠만해선 공격받지 않으며,

사냥하면 560개의 고기를 얻을 수 있어서 냉동고만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면 식량 걱정은 없다.

다만 해당 모드 기준으론 번식하지 않기 때문에 가축으로써의 가치는 시체 분해뿐이다.

 

무드 디버프를 주는 탓에 기본적으로 길들일 일이 잘 없지만, 괴로운 예술가 특성이 있다면 좋은 생물이다.

괴술가 특성상 무드를 깍고 정신이상을 터트린 뒤 예술품을 만들어내는데, 무드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괴술가와 상성이 좋다.

나선 달팽이 부식성 가스 디버프 -5 + 시체 목격 -4 + 썩어가는 시체 목격 -6으로 총 -15만큼의 무드를 깎을수 있다.

단, 부식성 가스와 부패액, 부패 가스 등에 림이 장시간 노출되면 폐렴에 걸려 중요한 인력 손실을 겪게 될 수 있어 괴술가를 죽일 생각이 아니라면 열대우림에서는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고기 수집과 시체 제거 이외의 용도로는 사실상 별다른 쓸모가 없고 무드 디버프 때문에 길들일 가치는 없다.

오히려 나선 달팽이가 나오는 족족 사냥하거나 냅둬서 시체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제일이다.

동물이 많이 생성되는 열대우림에서 쌓이는 시체를 빠르게 정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정도이니 길들이기 보단 내버려 두는 것이 낫다.

 

자물쇠턱 하마 (Lockjaw)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육식성 (날고기, 시체, 음식, 가공 식품, 사료)
일일 섭취량 0.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4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88)
최소 조련 레벨 8 이상

한줄 평가 : 야생 도살기

온대습지, 열대우림, 열대습지에서 20% 확률로 흔하게 등장하는 상위 포식자.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350.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100개이다.

 

파충류 고기와 파충류 가죽을 주기 때문에 가죽을 용도로 사냥하기에는 가치가 없다.

야성이 80%로, 20% 확률로 반격한다. 길들이기 어렵고 반격할 여지가 있어 위험하다.

순수 육식성 포식자지만 특이하게도 인간 사냥을 띄우지 않으며 자신보다 큰 생물을 사냥하려든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오물 생산량이 자그마치 16.0이나 되므로, 왠만하면 실내가 아닌 곳에 영역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특수 능력은 파상풍 질병.

물리는 그 즉시 대상에게 '파상풍'이라는 질병을 옮긴다. 파상풍은 대화 능력과 식사 속도를 50% 낮추며, 피로 누적 속도를 100% 만큼 늘리고 통증을 20% 추가한다.

 

물린 대상은 그 즉시 피로가 빠르게 쌓이게 되며, 통증이 늘어나므로 지속적으로 물려 다치면 빠르게 쓰러진다.

길들이거나 사냥할 때 반격이 뜨면 위험한 이유가 이 질병 때문으로, 가뜩이나 습지나 열대우림은 여타 질병 발병률이 높은데 이것이 겹치면 아무것도 못하고 침대에 누워있어야만 한다.

 

더군다나 파상풍에 감염되면 식사 속도를 늦춰서 간호하는 사람이나 스스로 먹을때 식사 하는데에 더 오랜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다행히도 3~4회 정도 치료하면 치유되지만, 그동안 일을 못하게 되기에 질병에 걸리는 것 자체를 주의해야 한다.

특히, 열대 기후 특성상 질병 이벤트 발생율이 더 높아서 감염된 동안 다른 질병이 같이 걸릴 수 있으므로 잘못하면 질병 연타로 정착지가 몰살당할 수도 있다.

 

자물쇠턱 하마는 큰 생물을 자주 사냥하기 때문에 시체를 자주 만들어내며, 그 과정에서 크게 다쳐 자신이 죽기도 한다.

덕분에 열대우림에선 사냥을 따로 하지 않아도 사냥당한 동물을 가져와 도축함으로 식량 충당이 가능하다.

 

가축이나 전투 생물로써의 입지는 그다지 좋지 않다.

번식이 불가능하며 전투용으로 사용하기엔 방어도가 없어 물렁물렁하고 덩치가 크고 느려 포화를 버티지 못한다.

길들이기도 어렵지만 길들여도 제 값은 못하고, 오히려 길들이지 않으면 시체를 자주 만들어줘서 내버려 두는 것이 좋다.

 

사람지옥 풀 (Mantrap)
이동 속도 3.00/초 (인간 4.60/초)
식성 육식성 (날고기, 시체, 음식, 가공 식품, 사료)
일일 섭취량 0.5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7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1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50)
최소 조련 레벨 8 이상

한줄 평가 : 도트딜을 주는 지원 사격형 생물

열대우림과 건조관목림에서 10%, 온대습지와 열대습지에서 7% 확률로 생성되는 식물형 생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19일,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28.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80개이다.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과 선인장 고기를 준다. 선인장 고기는 고기지만 채식으로 분류된다.

야성이 80% 이지만 반격하지 않는다. 덕분에 길들이려는 시도가 위험하진 않은 편.

순수 육식성 포식자이며, 인간 사냥을 띄울 수 있기에 허기진 상태인 사람지옥 풀은 위험하다.

 

살아있는 선인장 피부 가죽은 내구도 150%, 날카로움 100%, 둔탁함 24%에 열기 150%의 방어도를 가진다.

방열 45.0℃에 미관 130%가 붙어있어 바람막이를 만들거나 사막, 열대우림 의류를 만드는데 좋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육식성이고 사료도 먹을 수 있지만 배가 고프면 냉동고로 기어들어갈 수 있으므로 구역을 지정하는 게 좋다.

최소 온도가 -10.0℃로 낮기 때문에 이보다 더 낮은 온도의 냉동고에 들어가면 저체온증으로 쓰러질 수 있다.

 

특수 능력은 산성액.

사정거리 20의 산성액 투사 능력과 근접 공격시 산성 공격을 하여 지속적인 데미지를 준다.

산성액은 15의 피해를 입히며, 산성 피해는 메카노이드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메카노이드를 상대로 사용할 만하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체력이 낮고 근접전에 약하고 산성 피해 때문에 포로를 잡는 것이 어렵다.

격투가 림으로 보호하거나 탱킹형 생물들로 지키는 것이 좋다.

산성 피해는 치료가 늦어지면 화상처럼 영구적인 화상 피해를 남겨 외관을 깎고 결과적으로 해당 림의 관계도를 갉아먹기 때문에 포로 처형을 하는 게 아니라면 좋지 않다.

 

번식 기간과 성장 기간이 크지 않고, 순수 육식성 생물인 탓에 사료를 만들지 않으면 기르기 힘들다.

사료를 대량 생산 가능할 만큼 생산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는 초반에는 길들이기 어렵다.

1.4버전에 바이오테크 DLC가 생김에 따라 해당 DLC에서 메카노이드 이벤트가 대거 추가되어 메카노이드 처치 보조용으로 길들일 가치가 조금 생겼다.

 

랩터 순종 (Pedigreed Raptor)
이동 속도 5.00/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야생풀,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16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5.0℃ ~ 40.0℃
훈련시 지능 똑똑함
기대 수명 65년
운반 가능한 수량 56
최소 조련 레벨 1 이상

한줄 평가 : 가치 증폭기

온대림, 온대습지, 열대우림에서 5%, 열대습지에서 2%, 빙상과 해빙, 고열 사막을 제외한 기후에서 0.5 ~ 1% 확률로 생성되는 생물.

 

23일마다 알을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05.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33개이다.

 

파충류 고기와 파충류 가죽을 주기 때문에 가죽을 용도로 기르기엔 가치가 없다.

야성이 25%로, 10% 확률로 반격한다. 길들이기 어렵진 않지만 반격확률이 있어 높은 조련 능력이 권장된다.

잡식성이며 포식자로 취급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야생풀을 먹으며 조용히 지내는 편.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오물 생산량이 2.0 정도 되서 기지에 넣어두면 청소가 곤란해진다.

다만, 후술할 특수 능력 때문에 감소할 가치가 있는 지는 생각을 해봐야 한다.

 

특수 능력은 미관 상향.

랩터 순종이 있는 방은 현재 미관의 15%를 추가로 얻는다.

100의 미관이 있는 방이라면 랩터 순종이 있음으로 미관이 115가 되는 식.

 

체력이 낮고 공격력도 높지 않아서 전투용 생물로는 부적합하며,

생식 주기도 길고 성장기간도 길어서 도축용으로도 부적합하다.

특수 능력에 따라 미관 상향을 위한 용도 이외에는 그다지 쓸모가 없다.

 

이마저도 이데올로기 DLC를 추가하여 생산 전문가로 전설급 물건을 양산하는 수준이라면 필요없는 생물이다.

여러모로 계륵이며, 기지 가치 뻥튀기를 많이 시키기 때문에 습격 오는 적을 많이 늘린다.

상인들에게 팔기 위해서 기르는 것이 아니라면 별로 추천되지 않는 생물이다.

 

플라스모프 (Plasmorph)
이동 속도 1.00/초 (인간 4.60/초)
식성 잡식성 (과채, 날고기, 시체, 씨앗, 음식, 가공 식품, 술, 사료)
일일 섭취량 0.08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5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20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75)
최소 조련 레벨 6 이상

한줄 평가 : 방화광, 살아있는 생물 화염병

온대습지, 열대습지에서 5% 확률로, 온대림과 열대우림에서 1% 확률로 생성되는 생물.

 

번식하지 않는다.

수치상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40.

도축 시 가죽은 나오지 않는다.

 

가죽은 없고 고기는 140개 정도 나오기에 1일 치 간단한 식사용으로 사냥할 가치가 있다.

야성은 70%로, 반격하지 않지만 포식자로 취급된다.

인간 사냥 확률은 없지만, 포식자로 취급되며 후술할 특수 능력 때문에 등장하면 빨리 잡는 것이 좋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오물 생산량이 자그마치 4.0이나 되므로, 왠만하면 실내가 아닌 곳에 영역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공격과 호위를 훈련 시킬 수 있지만 이동속도가 느려서 도움이 되진 않는다.

 

특수 능력은 높은 방어도와 화염 투척. 날카로움과 둔탁함에 각각 50%의 저항력을 지닌다.

또한 최대 사정거리 15의 화염을 뱉어 던진다.

뱉은 화염은 1의 피해만 주며, 저지력도 0.5에 관통력도 1.5%로 형편없지만, 화염이다.

 

불이 붙거나 맞지 않은 부분을 시작으로 불을 퍼트리며, 빠르게 지형을 불태워 주변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게 목적이다.

화염공격에 면역인 메카노이드를 상대로는 쓸모없으며, 습지에서 주로 생성되는 특성상 한번 불이 붙으면 비가 내리거나 정착지까지 모조리 타버릴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는다.

 

방화광 특성이 왜 쓸모없고 화염병이나 화공을 잘 사용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이 생물을 쓸 이유는 없다.

하지만 온도 킬존이나 화염 킬존 등으로 적들을 죽이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화염병을 쓴다.

여러모로 써먹기 굉장히 곤란한 지형에서 나오고 사용하기도 애매하여 계륵인 생물.

 

랩터쉬림프 (Raptor Shrimp)
이동 속도 4.70/초 (인간 4.60/초)
식성 육식성 (날고기, 시체, 축산품, 음식, 가공 식품, 사료)
일일 섭취량 0.64 (간단 식사 0.9)
적정 온도 10.0℃ ~ 40.0℃
훈련시 지능 중간
기대 수명 15년
운반 가능한 수량 0(수치상 105)
최소 조련 레벨 9 이상

한줄 평가 : 최상위 포식자

온대습지, 열대우림, 열대습지에서 4% 확률로 등장하는 열대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

 

12일 주기로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성장기간은 30일, 성체 도축 시 기대 가능한 고기는 최대 196.

도축 시 얻는 가죽 량은 56개이다.

 

랩터쉬림프 고기와 경화 키틴질을 준다.

야성이 90%로, 10% 확률로 반격한다. 가공할만한 전투력 때문에 실패하면 림이 죽을걸 각오해야 한다.

순수 육식성 포식자이며 거대한 초식 생물이 없다면 가축을, 가축도 없다면 인간 사냥을 띄우는 생물.

 

경화 키틴질은 내구도 200%에 날카로움 140%, 둔탁함 24%에 열기 150%의 저항력을 지닌다.

다만, 단열과 방열이 각각 6.0℃로 천보다 못하지만 방호력에 올인된 가죽이다.

단열이나 방열 옷으로 만드는 것 보다는 강화 갑옷이나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애완동물 판정이기에 허가 구역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오물 생산량은 4 정도 되지만, 풀어놓아도 왠만큼 두드려 맞는다고 죽지도 않는다.

습격 등으로 인해 한순간에 너무 많이 맞게 되면 죽을 수 있다.

 

특수 능력은 재생.

랩터쉬림프는 상처가 빠르게 아물며, 왠만한 상처로는 출혈도 상처도 남지 않는다.

또한 날카로움에 70% 저항력을 지니고 있어 둔기가 아니라면 피해도 잘 받지 않는다.

 

전체적인 체력 자체는 1.4 정도의 크기의 생물에 알맞게 체력이 적은 편이지만,

23이라는 높은 공격력과 35%의 관통력, 높은 재생력을 기반으로 코끼리, 코뿔소 등의 거대한 생물을 사냥할 수 있다.

굉장히 강력한 생물이기 때문에 트럼보나 갈라트로스와 같은 근접 생물을 상대로도 잘 버티는 편.

 

이 생물의 유일한 단점이라고 한다면 온도.

적정 온도가 10.0 ~ 40.0℃이기 때문에 한파나 폭염이라도 오면 그대로 쓰러지거나 도망간다.

사시사철 여름인 영구적 여름 지역이 아닌 한 랩터쉬림프를 기용하는 것은 힘들다.

 

기온이 맞고, 2~3마리 정도의 수가 모인다면 트럼보를 상대로도 상처 없이 제압할 수 있다.

근접시킨 랩터쉬림프와 원거리 사격 지원이 있다면 갈라트로스를 상대로 무리없이 사냥이 가능할 정도이니 전투력 하나만큼은 확실한 편이다.

다만 화염 공격을 하는 일부 생물들이나 메카노이드를 상대로는 위험할 수 있으니 적에게 지옥화염포 센티피드나 스코쳐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종종 부족 단계의 팩션 병기 상인이 데리고 오기도 하기에 다른 지역에서도 가끔씩 구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야외 사냥을 맡기기에는 제 성능이 안나오지만, 내산지 플레이 중이고 곤충 군락이 습격을 온다면 혼자서 벌레들을 찢어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내산지에서 안나가는 플레이를 한다면 사놓고 훈련을 시키는 것도 꽤 괜찮은 선택이다.

 


해당 글은 작성자가 보기 위해서 작성했습니다.